전기차 충전카드 종류 혜택 총정리
전기차를 운전하는 데 있어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충전카드’입니다.
전기차는 주유소 대신 충전소에서 전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용카드로는 충전이 어렵고 전용 충전카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막상 충전카드를 알아보려 하면 종류도 많고, 혜택도 제각각이라 어떤 걸 써야 할지 혼란스럽죠.
2025년 현재 기준으로,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주요 충전카드의 종류와 특징, 혜택, 발급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전기차 충전카드란?
전기차 충전카드는 말 그대로 전기차 충전소에서 결제 및 인증에 사용하는 전용 카드입니다.
충전소에 도착해서 카드를 단말기에 찍으면 바로 충전이 시작되며, 요금은 카드에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청구됩니다.
단순한 카드 이상의 역할을 하며, 특정 운영사의 충전소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요금 할인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전기차 충전카드 주요 종류 (2025년 기준)
✅ 1) 환경부 카드 (EV Where)
https://ev.or.kr
ev.or.kr
- 운영사: 한국환경공단
- 전국 공공 급속충전기 사용 가능 (환경부 충전기)
- 특징: 단일 카드로 전국 공공충전기 대부분 이용 가능
- 요금: kWh당 약 309원 (2025년 기준)
- 발급: EV Where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
- 비용: 카드 발급 무료, 사전 충전 방식 또는 후불 방식 선택 가능
✔ 추천 대상: 공공충전소를 자주 이용하는 분, 초보 전기차 사용자
✅ 2) 한국전력 EV Infra 카드
EV Infra
국내1위 전기차 충전앱
www.evinfra.net
- 운영사: 한국전력공사
- 전국 한전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
- 특징: 완속/급속 모두 가능, 실시간 상태 확인 앱 연동
- 요금: 급속 기준 kWh당 약 290~320원
- 발급: EV Infra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 비용: 카드 발급 무료, 충전 후 후불 결제 가능
✔ 추천 대상: 전국을 자주 다니며 다양한 지역에서 충전하는 전기차 사용자
✅ 3) 테슬라 슈퍼차저 카드 (내장 기능)
- 운영사: 테슬라
- 테슬라 전용 슈퍼차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
- 특징: 카드 없이 차량 자동 인식 (차량과 계정 연동)
- 요금: 평균 kWh당 280원 내외
- 발급: 별도 카드 없음, 테슬라 계정 자동 등록
- 결제 방식: 등록된 카드에서 자동 청구
✔ 추천 대상: 테슬라 차량 보유자
✅ 4) 이브이링크(EVLink) 충전카드
- 운영사: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주)
- 자사 및 제휴 민간 충전소 이용 가능 (아파트, 빌딩 중심)
- 특징: 회원 요금제 운영, 할인 혜택
- 요금: 완속 기준 약 150~170원, 급속은 약 300원 전후
- 발급: EVLink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후 신청
- 비용: 카드 발급비 3,000원 내외
✔ 추천 대상: 아파트 또는 직장에서 충전하는 분, 저렴한 요금 원하는 사용자
✅ 5) 차지비(ChargeEV) 충전카드
- 운영사: 차지비
- 전국 약 8,000여 개 충전기 운영
- 특징: 비회원 요금과 회원 요금 구분, 정액제 요금제 운영
- 요금: 급속 기준 약 300~340원/kWh
- 발급: ChargeEV 앱에서 신청, 오프라인 카드 배송
- 비용: 발급비 3,000원, 정기 회원은 할인 혜택 제공
✔ 추천 대상: 쇼핑몰, 카페, 공공시설 등 민간 충전소를 자주 이용하는 분
✅ 6) 소프트베리 페어링카드 (Softberry)
- 운영사: 소프트베리
- 플러그쉐어(PlugShare)와 연동된 다양한 민간 충전소 사용 가능
- 특징: 통합 앱 연동, 충전소 후기 제공
- 요금: 충전소별로 상이 (kWh당 280~350원 사이)
- 발급: 페어링카드 앱에서 신청
- 비용: 카드 발급비 3,000~5,000원
✔ 추천 대상: 다양한 브랜드의 충전소를 한 앱으로 관리하고 싶은 사용자
3. 충전카드 없이 충전 가능한 방법은?
요즘은 충전카드 없이도 모바일 앱 또는 QR코드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카드가 있으면 더 빠르고 편리하게 인증 및 결제가 가능하며, 일부 구형 충전기는 카드 없이는 사용이 어렵습니다.
특히 야간, 비상상황, 배터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는 카드 사용이 훨씬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4. 전기차 충전카드 선택 팁
- 어디서 주로 충전하는지를 기준으로 선택하세요. (공공 vs 민간)
- 충전소 운영사별 할인 혜택을 비교하세요.
- 월 충전량이 많다면 정액 요금제나 멤버십 혜택 있는 카드가 유리합니다.
- 하나만 쓰기보다는 최소 2개 카드 보유를 추천합니다. (보조용 카드 확보)
5. 충전카드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충전카드는 신용카드와 연결되나요?
→ 대부분 앱에서 신용카드를 등록하면 충전 후 자동 청구됩니다.
Q2. 충전카드를 여러 장 등록해도 되나요?
→ 네. 대부분 앱에서 다수 카드 등록이 가능하며, 사용 시 선택 가능합니다.
Q3. 충전카드 분실 시 어떻게 하나요?
→ 앱에서 카드 사용 정지 후 재발급 신청 가능. 분실 신고는 필수입니다.
6. 마무리 요약
카드 이름 | 주요 충전소 | 요금대 | 특징 |
환경부 EV Where | 공공 | 중간 | 전국 호환성 최고 |
한전 EV Infra | 공공 | 중간 | 실시간 연동 우수 |
테슬라 | 슈퍼차저 | 저렴 | 자동 연동 방식 |
EV Link | 민간(아파트) | 저렴 | 완속 특화 |
차지비 | 민간 | 중간~비쌈 | 전국망 & 정액제 |
소프트베리 | 통합망 | 다양 | 앱 정보 풍부 |
전기차 충전카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자신의 충전 패턴과 생활 환경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카드 1~2장을 선택해두면 충전 스트레스 없이 전기차 생활이 훨씬 편해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