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전기차 충전카드 종류 총정리! 혜택부터 요금 비교까지 한눈에

by 전기빵빵 2025. 5. 4.
반응형

검정색 배경에 전기차 충전카드 혜택정리 라고 흰색으로 적힌 썸네일

 

전기차 충전카드 종류 혜택 총정리

전기차를 운전하는 데 있어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충전카드’입니다.
전기차는 주유소 대신 충전소에서 전기를 공급받기 때문에, 일반적인 신용카드로는 충전이 어렵고 전용 충전카드가 필요합니다.

하지만 막상 충전카드를 알아보려 하면 종류도 많고, 혜택도 제각각이라 어떤 걸 써야 할지 혼란스럽죠.
2025년 현재 기준으로,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주요 충전카드의 종류와 특징, 혜택, 발급 방법까지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1. 전기차 충전카드란?

전기차 충전카드는 말 그대로 전기차 충전소에서 결제 및 인증에 사용하는 전용 카드입니다.
충전소에 도착해서 카드를 단말기에 찍으면 바로 충전이 시작되며, 요금은 카드에 등록된 결제수단으로 청구됩니다.

단순한 카드 이상의 역할을 하며, 특정 운영사의 충전소를 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요금 할인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 전기차 충전카드 주요 종류 (2025년 기준)

✅ 1) 환경부 카드 (EV Where)

https://ev.or.kr

 

https://ev.or.kr

 

ev.or.kr

  • 운영사: 한국환경공단
  • 전국 공공 급속충전기 사용 가능 (환경부 충전기)
  • 특징: 단일 카드로 전국 공공충전기 대부분 이용 가능
  • 요금: kWh당 약 309원 (2025년 기준)
  • 발급: EV Where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신청
  • 비용: 카드 발급 무료, 사전 충전 방식 또는 후불 방식 선택 가능

✔ 추천 대상: 공공충전소를 자주 이용하는 분, 초보 전기차 사용자

 

✅ 2) 한국전력 EV Infra 카드

https://www.evinfra.net/

 

EV Infra

국내1위 전기차 충전앱

www.evinfra.net

  • 운영사: 한국전력공사
  • 전국 한전 충전소에서 사용 가능
  • 특징: 완속/급속 모두 가능, 실시간 상태 확인 앱 연동
  • 요금: 급속 기준 kWh당 약 290~320원
  • 발급: EV Infra 홈페이지 또는 모바일 앱
  • 비용: 카드 발급 무료, 충전 후 후불 결제 가능

✔ 추천 대상: 전국을 자주 다니며 다양한 지역에서 충전하는 전기차 사용자

 

✅ 3) 테슬라 슈퍼차저 카드 (내장 기능)

  • 운영사: 테슬라
  • 테슬라 전용 슈퍼차저 네트워크에서만 사용 가능
  • 특징: 카드 없이 차량 자동 인식 (차량과 계정 연동)
  • 요금: 평균 kWh당 280원 내외
  • 발급: 별도 카드 없음, 테슬라 계정 자동 등록
  • 결제 방식: 등록된 카드에서 자동 청구

✔ 추천 대상: 테슬라 차량 보유자

 

✅ 4) 이브이링크(EVLink) 충전카드

  • 운영사: 한국전기차인프라기술(주)
  • 자사 및 제휴 민간 충전소 이용 가능 (아파트, 빌딩 중심)
  • 특징: 회원 요금제 운영, 할인 혜택
  • 요금: 완속 기준 약 150~170원, 급속은 약 300원 전후
  • 발급: EVLink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회원 가입 후 신청
  • 비용: 카드 발급비 3,000원 내외

✔ 추천 대상: 아파트 또는 직장에서 충전하는 분, 저렴한 요금 원하는 사용자

 

✅ 5) 차지비(ChargeEV) 충전카드

  • 운영사: 차지비
  • 전국 약 8,000여 개 충전기 운영
  • 특징: 비회원 요금과 회원 요금 구분, 정액제 요금제 운영
  • 요금: 급속 기준 약 300~340원/kWh
  • 발급: ChargeEV 앱에서 신청, 오프라인 카드 배송
  • 비용: 발급비 3,000원, 정기 회원은 할인 혜택 제공

✔ 추천 대상: 쇼핑몰, 카페, 공공시설 등 민간 충전소를 자주 이용하는 분

 

✅ 6) 소프트베리 페어링카드 (Softberry)

  • 운영사: 소프트베리
  • 플러그쉐어(PlugShare)와 연동된 다양한 민간 충전소 사용 가능
  • 특징: 통합 앱 연동, 충전소 후기 제공
  • 요금: 충전소별로 상이 (kWh당 280~350원 사이)
  • 발급: 페어링카드 앱에서 신청
  • 비용: 카드 발급비 3,000~5,000원

✔ 추천 대상: 다양한 브랜드의 충전소를 한 앱으로 관리하고 싶은 사용자


3. 충전카드 없이 충전 가능한 방법은?

요즘은 충전카드 없이도 모바일 앱 또는 QR코드로 충전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카드가 있으면 더 빠르고 편리하게 인증 및 결제가 가능하며, 일부 구형 충전기는 카드 없이는 사용이 어렵습니다.

특히 야간, 비상상황, 배터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는 카드 사용이 훨씬 안전하고 효율적입니다.


4. 전기차 충전카드 선택 팁

  • 어디서 주로 충전하는지를 기준으로 선택하세요. (공공 vs 민간)
  • 충전소 운영사별 할인 혜택을 비교하세요.
  • 월 충전량이 많다면 정액 요금제나 멤버십 혜택 있는 카드가 유리합니다.
  • 하나만 쓰기보다는 최소 2개 카드 보유를 추천합니다. (보조용 카드 확보)

5. 충전카드 관련 자주 묻는 질문

Q1. 충전카드는 신용카드와 연결되나요?
→ 대부분 앱에서 신용카드를 등록하면 충전 후 자동 청구됩니다.

 

Q2. 충전카드를 여러 장 등록해도 되나요?
→ 네. 대부분 앱에서 다수 카드 등록이 가능하며, 사용 시 선택 가능합니다.

 

Q3. 충전카드 분실 시 어떻게 하나요?
→ 앱에서 카드 사용 정지 후 재발급 신청 가능. 분실 신고는 필수입니다.


6. 마무리 요약

카드 이름 주요 충전소 요금대 특징
환경부 EV Where 공공 중간 전국 호환성 최고
한전 EV Infra 공공 중간 실시간 연동 우수
테슬라 슈퍼차저 저렴 자동 연동 방식
EV Link 민간(아파트) 저렴 완속 특화
차지비 민간 중간~비쌈 전국망 & 정액제
소프트베리 통합망 다양 앱 정보 풍부

전기차 충전카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입니다.
자신의 충전 패턴과 생활 환경을 고려하여 합리적인 카드 1~2장을 선택해두면 충전 스트레스 없이 전기차 생활이 훨씬 편해질 것입니다.

반응형